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라면은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나?, 일본의 발명품이 한국인의 소울푸드가 되기까지 1. 한국이 아니다! 일본의 발명품 ‘라멘’1) 라면의 그 시작: 도쿄에서 탄생한 역사라면의 시작은 한국이 아닌 1958년 일본 도쿄입니다. 발명자는 일본의 기업가 안도 모모후쿠(安藤百福)로, 전쟁 이후 식량난이 극심하던 일본 사회에 보존 가능하고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식품이 필요하다는 데서 착안해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 최초의 라면은 지금도 널리 알려진 '닛신(Nissin) 치킨라멘'입니다.면을 튀기는 방식으로 보존성과 조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이 제품은 출시와 동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곧 다양한 맛과 형태로 확장되며 일본 가정의 필수 식품으로 자리잡습니다. 1971년에는 세계 최초의 컵라면(Cup Noodles)이 등장하면서 인스턴트 라면의 전성기가 열립니다.2) 내유치기.. 2025. 5. 8.
물김치에서 빨간 고춧가루 김치까지, 조시대 김치와 현대 김치의 차이 1. 김치의 기원, 고대부터 조선 초기까지1) 김치는 '절인 채소'에서 시작되었다오늘날의 김치는 대부분 붉은 고춧가루와 젓갈로 버무린 배추김치를 떠올리지만, 고대의 김치는 지금과 매우 달랐습니다. 김치의 기원은 기원전부터 존재했던 ‘염장 채소’로, 식재료의 부패를 막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음식이었습니다. 소금물에 배추나 무, 오이를 절여두면 발효가 일어나 시큼한 맛이 나는데, 이 맛이 점차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김치의 초기 형태로 자리 잡게 됩니다.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며 김치는 소금과 장류(간장·된장)를 이용해 만든 단순한 형태의 저장식품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당시에는 추운 겨울에 채소를 구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김치는 생존을 위한 지혜이자 계절 식품 보존법이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 2025. 5. 7.
햄버거의 어원과 세계 여행기, 독일 함부르크에서 미국 패스트푸드까지 1. 햄버거의 어원은 ‘함부르크 스테이크’였다1) 독일 이민자의 고향 음식, 함부르크에서 시작되다햄버거라는 이름의 기원은 놀랍게도 미국이 아닌 독일의 ‘함부르크(Hamburg)’라는 도시에서 시작됩니다. 19세기 초, 독일 함부르크는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는 주요 항구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이 항구 도시에서 출발한 독일 이민자들이 자신들의 고향 음식인 Hamburg Steak—곱게 간 소고기를 구워낸 요리—를 미국으로 가져오면서, 햄버거의 역사는 시작됩니다.이 ‘함부르크 스테이크’는 원래 다진 고기에 양파, 향신료, 빵가루 등을 섞은 후 구운 일종의 고기 요리였습니다. 쉽게 말하면 오늘날의 햄버거 패티에 해당하죠. 이 음식은 미국 이민자 사회를 중심으로 퍼져나갔고, 뉴욕 항구 인근 레스토랑.. 2025. 5. 7.
통조림의 탄생 이야기, 나폴레옹의 전쟁에서 시작된 보존식품의 혁명 1. "전쟁은 배고픔과 함께 온다" – 나폴레옹의 고민1800년대 초반, 유럽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군사 작전으로 들썩였습니다. 그는 탁월한 전략가이자 행정가로, 유럽 대부분의 국가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며 짧은 시간 내 제국을 일구었죠. 그러나 그런 나폴레옹에게도 고민은 있었습니다. 바로 군대의 '식량' 문제였습니다. 군인이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훈련, 전략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배를 든든히 채워야 했습니다. 당시 병사들이 주로 먹던 식사는 말린 고기, 염장 식품, 딱딱한 비스킷류였는데, 대부분 영양이 불균형하고 부패 위험이 컸습니다. 먼 지역으로 진격할수록 음식은 상하기 일쑤였고, 병사들은 식중독, 괴혈병, 영양실조에 시달렸습니다. 결국 음식이 병사들을 먼저 죽인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죠. 이.. 2025. 5. 7.
음식 사진과 소비의 상관관계, 정말 '먹스타그램' 효과가 있을까? 1. 먹스타그램의 등장과 소비 트렌드 변화1) SNS와 음식 소비 문화의 결합최근 몇 년간 SNS 플랫폼은 소비 패턴과 생활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특히 인스타그램과 같은 비주얼 중심의 플랫폼이 부상하면서 음식 사진 공유 문화, 즉 '먹스타그램'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사람들은 왜 식사 전 음식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걸까?2) 소비 기준의 변화SNS의 등장 이전에는 맛, 가격, 서비스 품질이 음식점 선택의 주요 기준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음식의 비주얼이 중요하게 자리 잡았다. 소비자들은 SNS에서 '사진 찍기 좋은 음식'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3) 음식업계의 마케팅 전략 변화실제로 음식점들은 SNS 홍보를 중요하게 여기며,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mable)'한 메뉴 개발에.. 2025. 3. 30.
로컬푸드의 부상 : 가까운 곳에서 자란 먹거리의 가치 1. 로컬푸드란 무엇인가요?최근 식품 소비 트렌드 중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 중 하나가 ‘로컬푸드’입니다.로컬푸드(Local Food)는 말 그대로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뜻하는데요.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이동 거리가 짧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한 식품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대형마트에서 전국 각지의 식재료를 손쉽게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요즘은 반대로 내가 사는 지역에서 나는 농산물이나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습니다.이는 단순히 '신선하다'는 장점만이 아닌, 환경 보호, 지역경제 활성화, 신뢰도 있는 먹거리라는 다각적 요소들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시대에 직거래 플랫폼과 온라인 로컬푸드몰이 활성화되.. 2025. 3. 28.